Skip to end of metadata
Go to start of metadata

 

 

개요


본 문서는 Altibase 제품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한다.

본 문서는 Altibase v7.1.0 버전 이상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.

 

 

Icon

이 문서와 관련된 오류 및 개선사항은 기술지원포털 또는 기술지원센터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.

Icon

이 문서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제공되며, 사전에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. 이 문서는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, 상업적 또는 특정 목적에 부합하는 명시적, 묵시적인 책임이 일절 없습니다.

이 문서에 포함된 Altibase 제품의 특징이나 기능의 개발, 발표 등의 시기는 Altibase 재량입니다.

Altibase는 이 문서에 대하여 관련된 특허권, 상표권, 저작권 또는 기타 지적 재산권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


Altibase의 EOS(End of Service) 정책에 따라 지원되는 버전들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. 이 문서의 작성 시점 기준으로 최신 Altibase 버전은 'Altibase ver. 7' 이며 'Altibase ver. 6' 미만의 버전들은 EOS 대상이다. Altibase 제품은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하기 전까지는 구동할 수 없기에 구동 전 아래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진행해야 한다.

  • altibase.properties에서 DB_NAME을 확인한다.

  • DB_NAME이 mydb(기본 값)이 아닐 경우 server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.
    (create database mydb 구문의 mydb를 DB_NAME에 맞게 변경)

  •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.
    (server create '데이터베이스 캐릭터셋' '내셔널 캐릭터셋')


    또는 아래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.


    각 캐릭터셋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.

    항 목설 명
    데이터베이스 캐릭터셋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캐릭터셋을 의미한다.
    (US7ASCII, KO16KSC5601, MS949, BIG5, GB231280, UTF8, SHIFTJIS, EUCJP)
    내셔널 캐릭터셋NVARCHAR, NVARCHAR2에 저장되는 유니코드 기반의 캐릭터셋을 의미한다.
    (UTF8, UTF16)

 

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주의 사항


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주의해야 할 항목들은 아래와 같다.

아카이브 로그 모드


  • 아카이브 로그 모드는 control 단계에서 설정할 수 있다.
  • 따라서, 노아카이브 로그 모드에서 아카이브 로그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Altibase를 종료 후 시작 과정 중 control 단계로 진입해야 한다.
  • 아카이브 로그 모드에서 아카이브 로그파일은 Altibase가 지정된 아카이브 로그파일 디렉토리로 로그파일을 복제만 할 뿐 임의로 삭제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관리가 필요하다.
  • 백업 주기와 그 주기 안에 생성되는 로그파일 개수를 고려하여 아카이브 로그파일 디렉토리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.

DB_NAME


  • DB_NAME의 경우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결정된다.
  • 변경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재생성을 해야 하기에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해야 한다.
  • 따라서, 처음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주의해야 한다.



데이터베이스 제거 방법


Altibase 구성 파일들을 전부 삭제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제거할 수 있다. 

제거 대상 파일 확인


  • 정상적인 데이터베이스 제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, 삭제할 데이터 파일과 로그파일을 제거 전 확인한다.

데이터베이스 제거


  • Altibase 종료 후 process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 제거를 진행한다.

 

별첨


Altibase 3, 4, 5 버전별 생성 가이드를 추가 합니다.

ALTIBASE_버전별_DB_생성_가이드.pdf

 

 

  • No labels